Surprise Me!

[뉴스메이커] "오늘부터 문화재 → 국가유산입니다"

2024-05-17 6 Dailymotion

[뉴스메이커] "오늘부터 문화재 → 국가유산입니다"<br /><br />뉴스 속 주인공을 만나보는, 입니다.<br /><br />지난 62년간 우리나라의 역사적 장소와 유물을 일컬어 문화재라고 불러왔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오늘부터 '문화재'라는 용어는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.<br /><br />대신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유산이라는 개념이 적용돼 국가 유산으로 불리게 되는데요.<br /><br />이와 동시에 첫발을 내딛게 된 국가유산청을 오늘의 뉴스메이커에서 만나봅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가 '문화재'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건 1962년 '문화재보호법'이 제정된 직후부텁니다.<br /><br />문화재라는 용어는 처음 일본에서 등장했는데요.<br /><br />우리 역시 일본법의 영향으로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을 따라 '문화재'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때문에 그동안 문화재라는 용어를 쓰는 국가는 한국과 일본뿐이었죠.<br /><br />문화재라는 단어가 지닌 의미에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 역시 계속돼 왔습니다.<br /><br />재화적 가치와 사물의 관점만을 지니고 있어 사람이나 자연물을 포괄하기 어려웠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우리나라도 드디어 62년 만에 문화재 대신 국가유산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유산이라는 표현은 1972년 유네스코가 제정한 세계 문화와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전 세계가 사용 중인데요.<br /><br />우리나라 역시 유네스코의 유산 분류 기준에 따라 문화유산과 자연유산, 무형 유산 등으로 구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또한 용어 개편과 함께 새로운 틀에 맞춘 조직인 국가유산청도 첫발을 내디뎠습니다.<br /><br />기존에는 보존과 규제 위주로 정책이 이뤄졌다면 앞으로는 국가유산을 매개로 하는 콘텐츠나 상품 개발 등의 국가유산 산업을 장려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특히 국가유산청은 새 출발을 기념해 전국에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명소들을 무료로 개방 중인데요.<br /><br />이번주 일요일까지 한시적으로 개방되는 국가유산 70여 곳에 이릅니다.<br /><br />서울의 4대 궁궐과 종묘, 조선왕릉 등을 비롯해 안동 하회마을, 도산서원, 제주도의 성산일출봉까지 전국의 주요 명소에서 입장료를 받지 않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과거에서 출발한 문화재청에서 이제는 미래 지향형으로 거듭난 국가유산청!<br /><br />국가유산청이 우리 유산을 보호하고 또 발굴해 내는데 어떤 역할을 해나갈지, 국민들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'뉴스메이커'였습니다.<br /><br />#문화재 #국가유산 #국가유산청 #유네스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